가설기자재
시스템서포트HL 605 System Support
시스템서포트는 수직재, 수평재, 대각재, 쟈키베이스, 유헤드, 소켓, 각관멍에재로 구성되며, 지하구조물 또는 주상복합구조물의 건축 및 토목, 교량 구조물의 높은 층고를 지지하는 동바리입니다.


수직재

규격 | L(mm) | 중량(kg) |
---|---|---|
P-25 | 2588 | 12.0 |
P-17 | 1725 | 8.0 |
P-12 | 1291 | 6.2 |
P-8 | 863 | 4.4 |
P-4 | 432 | 3.0 |
P-2 | 216 | 2.0 |
수평재

규격 | 지주간격(mm) | 중량(kg) |
---|---|---|
H-18 | 1829 | 5.0 |
H-15 | 1524 | 4.3 |
H-12 | 1219 | 3.5 |
H-9 | 914 | 2.8 |
H-6 | 610 | 2.1 |
H-3 | 305 | 1.3 |
대각재

규격 | L(mm) | A | B | 중량(kg) |
---|---|---|---|---|
B-1718 | 2332 | 2332 | 1829 | 5.8 |
B-1715 | 2139 | 2139 | 1524 | 5.3 |
B-1712 | 1974 | 1974 | 1219 | 5.0 |
B-1709 | 1845 | 1845 | 914 | 4.7 |
B-1218 | 2032 | 2032 | 1829 | 5.0 |
B-1215 | 1808 | 1808 | 1524 | 4.6 |
B-1212 | 1609 | 1609 | 1219 | 4.2 |
B-1209 | 1448 | 1448 | 914 | 3.8 |
트러스

쟈키베이스 | 유헤드 | 소켓 | 각관멍에재 | |
---|---|---|---|---|
이미지 | ![]() |
![]() |
![]() |
![]() |
규격 | 600 | 600 | 120 | 125*75*3.2t |
사용길이(mm) | 50~450 | 150~450 | ||
중량 | 5.0 | 5.4 | 0.5 | 9kg/m당 |
설치 조립순서
-
쟈키베이스에 지주 P-2(P-4)를 조립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합니다.
-
조립된 지주에 수평재를 연결합니다. 이때 핀(쐐기)를 살짝 고정하여, 설치할 위치를 잡습니다.
-
지주를 조립하고 대략적인 수평을 잡습니다.
-
상부 수평재를 설치합니다.
(*수직 대각재를 설치하면서 완전한 수평을 맞추고 난 후 살짝 고정시켜 놓았던 쐐기를 완전히 끼워 맞춥니다.) -
추가 2단 수직재를 조립하고, 대각재를 설치 한 후 쐐기를 완전히 고정시킵니다.
-
같은 순서로 계속 작업합니다.
-
최상단에는 필히 소켓을 조립합니다.
-
유헤드쟈키를 끼워서 높낮이를 조절합니다.
시공현장사진

시스템비계HL 486 System Scaffold
강관비계파이프로 설치되던 외부 비계 작업의 안전, 효율성을 보완 강화하여 리모델링 및 주상복합빌딩 (유통, 프랜트시설, 조선소 등) 모든 건설현장에 사용이 가능하며, 시간과 안전비용을 절감하여 드립니다.
시스템비계의 5대 장점
- 안전성 : 정확한 규격 제품과 견고한 체결로 안전성 확보
- 경제성 : 시공시의 조립시간 단축 및 경량화로 경제성 우수
- 내구성 : 특수재질(STK500)과 용융아연도금 제품으로 내구성 및 방청력 우수
- 다양성 : 복잡한 라운드형 구조물에도 적용가능한 보강수평재 보유
- 신속성 : 안전모를 착용하고도 작업통로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층간 190mm 높이 유지
수직재

수직재(Ф48.6*2.3t)
48.6*2.3t STK재질을 이용하여, 견고한 쐐기식 조립으로 느슨함, 삐걱거림, 어긋남을 미연에 방지하였고, 275mm에서 3800mm까지의 다양한 제품을 갖추고 있습니다.안전발판을 거치시 고저차이가 있어 발의 빠짐을 방지하여 별도의 보강재 작업이 필요 없으며, 1900mm 높이간격으로 안전한 통행로와 작업공간을 확보하였습니다.
규격 | L(mm) | 중량(kg) |
---|---|---|
P-38 | 3800 | 14.1 |
P-19 | 1900 | 7.4 |
P-09 | 950 | 4.0 |
P-04 | 475 | 2.2 |
P-02 | 275 | 1.6 |
수평재

수평재(Ф42.7*2.3t)
경량화의 간결한 쐐기식 조립으로 안전한 조립, 해체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이 우수합니다.규격 | L(mm) | 중량(kg) |
---|---|---|
H-18 | 1829 | 4.8 |
H-15 | 1524 | 4.3 |
H-12 | 1219 | 3.4 |
H-09 | 914 | 2.8 |
H-09 | 610 | 2.1 |
대각재

대각재(Ф26.7*2637)

규격 | L(mm) | A | B | 중량(kg) |
---|---|---|---|---|
B-2637 | 2637 | 1900 | 1829 | 3.7 |
B-1693 | 1693 | 1425 | 914 | 2.6 |
B1318 | 1318 | 950 | 914 | 2.0 |
쟈키베이스, 브라켓

안전발판, 계단발판

안전발판
개량화된 고리를 사용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후 마감이 깨끗하며, 다양한 규격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규격 | 중량(kg) |
---|---|
400*1829 | 13.9 |
400*1524 | 12.0 |
400*1219 | 10.0 |
400*914 | 8.3 |
400*610 | 6.2 |

계단발판
(460*2637 26kg)
(510*2637 29Kg)
트러스, 비계버팀대

트러스(3600L 19.5kg)

비계버팀대
(HL-2439 240~390 1.1Kg)
(HL-3752 370~520 1.5Kg)
시공현장사진

파이프서포트 Pipe Support
거푸집 동바리용 지주로 사용되며, 설치 높이에 따라 나사와 핀으로 쉽게 조정이 가능합니다.
제품사진

시공사진

규격명 | 최저높이(mm) | 최고높이(mm) | 허용하중 | 중량(kg) |
---|---|---|---|---|
V0 | 1400 | 2300 | 9.6 | |
V1 | 1800 | 3300 | 1800 | 12.3 |
V2 | 2000 | 3500 | 1500 | 12.8 |
V3 | 2400 | 3900 | 1350 | 13.7 |
V4 | 2700 | 4000 | 1350 | 14.2 |
V5 | 3000 | 5000 | 1000 | 16.0 |
V6 | 4500 | 6000 | 700 | 19.0 |
잭서포트(Jack Support)
중하중용 동바리로서 제한적인 면적등에 주로 사용되며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중하중을 받는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주로 사용합니다.


사용법위(mm) | 중량(kg) | 허용하중 | 최대하중(ton) |
---|---|---|---|
2500~2800 | 65 | 30 | 48.0 |
2500~2800 | 71 | 30 | 48.0 |
3000~3300 | 74 | 30 | 44.0 |
3500~3800 | 83 | 30 | 44.0 |
잭서포트 설치방법

단관비계
단관비계파이프(Pipe)
단관비계용 강관과 전용부속철물을 이용하여 좁은 장소, 건물의 높이 등에 자유로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합니다.

규격 | 중량(Kg) | ||||
---|---|---|---|---|---|
외경Φ(mm) | 두께(mm) | 2m | 3m | 4m | 6m |
48.6 | 2.3 | 5.3 | 7.9 | 10.5 | 15.8 |
부속철물

클램프(고정, 회전, 직교)
단관조인트
합벽지지대
합벽지지대의 용도
아파트, 주상복합건물, 업무용 및 상업용 빌딩등의 지하층 콘크리트 구조물이 합벽일 경우 거푸집에 폼타이 및 T-BAR를 용접 및 거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측압을 지지하여 벽의 정밀시공 및 방수문제를 해결하고 공기단축, 자재비 및 노무비 절감으로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공법입니다.
합벽지지대의 장점
- 분리형 대비 인건비 1/3로 감소하며, 사용미숙에 따른 설치하자 발생 감소
- 합벽의 구조물이 용접되어 있어 자재의 안전성 확보
- 장비 없이 2인으로 작업이 가능
- 일정한 형태로 합벽을 지지하므로 균일한 측압 배분으로 합벽면의 배부름등 하자발생 최소화
- 자재 정리시 적은 비용으로 관리가 가능
- 자재 손망실 발생 요소 감소
합벽지지대의 구조
합벽솔져시스템(Soldier System)
Soldier System은 합벽용 무폼타이 공법(솔져공법)으로 지하의 외벽 거푸집 공사시 막이벽 벽체 반대편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합벽철물 및 용접된 폼타이 없이 콘크리트 측압을 완벽하게 지지하도록 개발된 공법입니다.
솔져시스템 1단 설치방법
솔져 시스템 2단 설치방법
시공현장사진
안전기자재
브라켓(Bracket)
시스템 비계 작업시 측벽, 슬라브, 발코니 등에 설치하여 비계를 지지하거나 발판 등을 연결하여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발코니 브라켓

구분 | L(mm) | A(mm) | 중량(kg) |
---|---|---|---|
외줄 | 740 | 100~260 | 9.4 |
쌍줄 | 950 | 100~260 | 10 |
슬라브 브라켓

구분 | L(mm) | A(mm) | 중량(kg) |
---|---|---|---|
외줄 | 500 | 600 | 7.9 |
쌍줄 | 950 | 1200 | 14.4 |
측벽 브라켓

구분 | L(mm) | A(mm) | 중량(kg) |
---|---|---|---|
외줄 | 740 | 100~250 | 10.6 |
쌍줄 | 1000 | 100~250 | 11.2 |
안전난간대
건축물의 발코니나 계단 및 슬라브 부위에 설치하는 안전 시설재로, 시공전에 임시로 설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킵니다.
호이스트 안전출입문
건설공사용 리프트 승강구를 설치할 때 안전문으로 사용하며, 서포트가 불필요하여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합니다.
엘리베이터 개구부용 난간틀(E/V난간대)
엘리베이터 개구부에 설치하는 안전 시설재로 개구부 크기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합니다.
안전발판
건설공사 수행에 필요한 가설통로, 작업발판과 같은 바닥재로 용도에 따라 발판의 종류가 상이하며, 가벼워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합니다.
* 틀 Tower등에 사용되는 작업발판으로 내구성과 안전성이 높습니다.
비계의 작업발판으로 사용되며 양쪽 끝의 고리에 비계를 걸고 고정시켜 안전발판으로 사용합니다.
규격(mm) | 중량(kg) |
---|---|
400*1829 | 13.8 |
500*1829 | 16.7 |
계단발판
규격(mm) | 중량(kg) |
---|---|
250*914 | 10.0 |
수직보호망 & 낙하물방지망
근로자 또는 보행인을 위에서 낙하하는 물체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추락하는 근로자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안전망 설치 사다리
규격(mm) | 중량(kg) |
---|---|
400*4000 | 23.8 |